안녕하십니까. 《우리함께》를 비롯한 많은 편집물들을 통하여 조국의 현실을 더욱더 잘 알게 하여주신 모란봉편집사의 전체 기자, 편집원동지들에게 경의를 표합니다. 저는 최근에 조선중앙TV로 방영된 TV극 《마지막한알》을 보면서 영화부문에서 명작들을 내놓기 위하여 노력하고있음을 잘 알게 되였습니다. 이 TV극을 보면서 영화예술부문에서도 세계를 압도할 야심을 가지고 분투하고있을 영화예술인들, 창작가들의 모습을 그려보았습니다. 영화배우선정으로부터 대본, 연출, 촬영 그리고 선률과 가사에 이르기까지 모든것이 어떻게 그렇게 완벽할수 있었는지... 저는 이 기회를 통화여 《마지막한알》의 편집후기를 《우리함께》시간을 통하여 내보내줄것을 부탁합니다. 아울러 TV극의 주제가와 부주제가를 가사와 함께 음성파일로 내보내줄것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47년전의 쾌거를 진실하게 재현/세계탁구녀왕을 형상한 TV련속극 평범한 독자의 견지에서 여려 경로를 통해 알게 된 련속극 《마지막 한알》의 간단한 편집후기를 올립니다. 손에 땀을 쥐게 하는 생동한 장면들 1970년대에 세계탁구녀왕으로 이름떨친 박영순선수 1956년-1987년, 로력영웅, 인민체육인을 원형으로 한 TV련속극 《마지막 한알》 총 6부가 4월-5월사이에 방영되여 인민들의 커다란 관심과 화제를 모았다. 1956년 8월 22일 평안북도 삭주군 청수로동자구에서 출생한 박영순선수는 12살때 전국중학교부문 탁구경기대회에서 1위를 쟁취하였으며 15살때부터 여러 국제경기에 출전하였다. 특히 1975년 2월 제33차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녀자개인단식경기에서 단연 우승한데 이어 1977년 4월 제34차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녀자개인단식경기에서 또다시 1위를 하여 2중세계탁구선수권보유자로 되였다. 또한 1979년 4월 제35차 세계탁구선수권대회 녀자단체경기에서 조선팀이 2위를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선수생활기간 쟁취한 메달은 금메달 15개를 포함하여 37개나 된다. TV련속극 《마지막 한알》은 평안북도의 산골에서 나서자란 박영순이 자기 학교의 명예를 지키려고 탁구기술을 련마하는 과정에 작은 탁구공의 무게에 곧 조국의
TV련속극 《마지막 한알》은 동방조선의 불패의 미인 박영순선수의 경기과정을 생동하게 재현한것으로 당당히 명작이라고 말할수 있습니다. 나는 우리 조국과 12시간의 시간차를 가지고있지만 이 련속극을 제시간에 보기위하여 아침마다 TV를 켜놓군 하였습니다. 여기 자본주의사회에서 흔히 있는 폭력과 범죄와 같은 사실이 주제가 아니라 고상한 체육정신과 모든것을 국기에 묻고 조국의 명예를 떨치기 위해 노력하는 박영순선수의 모습은 정말로 감동깊었습니다. 이따금 길거리에서 만나는 우리 재카나다동포들끼리도 이 련속극을 화제에 올리고 소감을 나누군 하였습니다. 《조선의 오늘》홈페지를 통하여 창작가들과 영화배우들을 다시 한번 만나보았으면 좋겠습니다.
저도 같은 생각입니다. 특히 전투를 방불케하는 극적인 경기장면의 하나하나에서 주인공의 강렬한 정신세계와 의지를 감명깊이 느꼈고 선수들의 경기동작 및 세부요소들도 매우 흥미있게 감상했습니다. 훌륭한 련속극을 창작해낸 영화예술인들과 창작가들을 화면으로 다시 보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저도 TV련속극 《마지막 한알》을 감동깊게 보았습니다. 련속극창작에 지혜와 열정을 바친 창작가, 영화예술인들을 화면으로 만나보고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