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8 회)
제 1 편
전쟁은 어느때 일어나는가
제 1 장
3
(10)
《내 김책이요.》 하면서 방에 들어서더니 단도직입적으로 《동무가 안 울라지미르요?》 하고 묻는것이였다.
안동수는 일어선채 의아해서 대답했다.
《그렇습니다.》
김책은 정중한 어조로 입을 열었다.
《동무는 평양학원 교원으로 임명되였소.》
《예?》
안동수는 너무도 뜻밖이여서 눈을 크게 뜨고 그를 쳐다보았다.
평양학원이 정치군사일군들을 양성해내는 나라에 하나밖에 없는 중요한 교육기관이라는것을 알고있었던것이다. 군복을 입은 사람들중에서도 앞으로 정규군의 골간으로 될 사람들을 키워내는 곳이다. 그런데… 내가 그런 중요한 학원의 교원으로 임명되다니… 내가 어떻게?…
김책의 다음말은 그를 더욱 놀라게 하였다.
《우리의 영명하신
그는 도저히 이 사실이 믿어지지 않았다. 꼭 꿈을 꾸는것만 같아 슬그머니 손등을 꼬집어보기까지 했다.
같은 따슈껜뜨출신인 허가이며 박영욱이까지도 믿을수 없다면서 38경비대 대원으로 보내기조차 꺼려하댔는데…
《어서 떠날 준비를 하오. 그런데… 저애들은 누구요?》
김책은 낯선 사람이 무서운듯 슬금슬금 다가와 안동수의 등뒤에 숨는 꽃니와 역시 창가에 눈이 올롱해 서있는 금덕이를 웃으며 갈마보았다.
《저 앤 내 누이동생이구 이 앤 꽃니라구…》
안동수는 그를 데려오게 된 사연을 대충 말해주었다.
그의 말을 듣던 김책은 《애가 참 곱게 생겼구만.》 하더니 두팔을 벌리고 꽃니에게 《얘야, 이리 오너라.》 하고 불렀다. 그러나 애는 안동수의 잔등에 얼굴을 박은채 움직일념을 안했다.
《허허허, 낯가림을 하는 모양이군.》
김책은 껄껄 웃으며 안동수를 돌아보았다. 《자, 그럼 준비하오. 인차 떠납시다.》
평양학원으로 가는 차안에서 김책은 꽃니를 안고 옆자리에 앉아있는 안동수에게 감동에 젖은 소리로 말했다.
《엊그제
〈조국을 위하여 일하겠다고 수만리 먼길을 온 동무인데 믿읍시다. 소원대로 군복을 입히고… 사범대학을 나오고 외국어를 잘한다니 평양학원 외국어교원을 시킵시다.〉 하시면서 앞으로 동무를 한번 꼭 만나보겠다고 하시였소.》
안동수는 뜨거운것이 목을 메우며 욱 치밀어오르는것을 어찌할수가 없었다. 목이 꽉 메여 아무말도 할수가 없었다.
누구도 알아주려 하지 않던 이 평범한
《동무도 이제 가보면 알겠지만 평양학원은 정규무력건설의 초석을 다지는데서 아주 중요한 몫을 맡고있는 우리 나라의 첫 군사정치간부양성기지요. 군사정치교육기관의 모체라 할수 있지.》
김책은 잠시 말을 끊었다. 차창밖으로는 한창 가을빛으로 익어가는 산천이 흘러가고있었다. 푸른 가을남새밭너머 저 앞산에서는 크고작은 기암괴석들이 노을처럼 불타는 단풍속에 묻혀 그 기묘한 자태를 자랑하고있었다.
김책은 말을 이었다.
해방후 인차 당을 창건하신
하지만 그 집 단칸방에서는 그때에야 두 내외가 바삐 메밀망질을 하고있었다.
집주인은 오매에도 뵙고싶던
집주인의 이런 심정을 헤아리신
집주인이 당황해서 《어떻게
그 집에서 검소한 국수로 때늦은 점심식사를 하신
실로 우리 평양학원에 돌려주신
《예?》
안동수의 눈이 번쩍 빛났다. 가슴은 파도치는 바다를 안은듯 한없이 설레였다. 그런 영광의 학원으로 내가 가다니…
《우리
상학실에 들리시여서는 손수 사격하는 묘리도 가르쳐주시고… 산에서 싸우실 때 이야기도 들려주시였소.…
동무는 이런 영광의 교단에서 일한다는것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되겠소.》
안동수는 갑자기 해빛찬란한 봄언덕에 올라선듯 눈이 부시고 온몸이 격동되는것을 느끼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