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24 회)
13
(1)
부대는 돈화, 연길, 왕청, 녕안의 네개 지경이 한데 모여든 로야령의 봉우리에 위치하고있었다.
줄곧 뒤를 따르던 적들이 벌써 1주일째나 종적을 감추었다. 부대가 적을 놓치고 혼자 있다는것은 매우 좋지 못한것이였다.
최칠성을 부르신
무엇보다도 두만강을 향해 동남쪽으로 내려오던 관동군이 별일없이 돈화지구에 머물러있다는것은 매우 심상치 않은것이다.
그것들은 두만강지구에 흩어진 라남사단과 달라서 9. 18사변이후 장춘, 심양 등지에서 활동하면서 사기를 높이였고 전투경험도 얼마간 얻었다. 그것이 아무때나 불의에 두만강연안으로 올 위험이 있었다. 여태 전투를 했다기보다 중국인민에게 야수적인 만행을 들씌우던 놈들인것만큼 근거지를 무자비하게 짓뭉개놓을 위험이 있었다. 한편 간도림시파견대는 산악지대에 익숙해지지 못한것을 구실로 좀체로 산으로 오르려 하지 않고 연길, 왕청, 화룡 등지에서 농촌마을을 《토벌》하면서 빙빙 맴돌고있었다. 며칠째 아무런 정황이 없어 정찰조를 보내 알아본데 의하면 어데서나 산으로 올라올 기미는 보이지 않고 병영안에 있거나 인가근처에서 꾸물거리고있다 한다.
출판보도들에서도 요새는 얼마간 열이 식어지고있다. 띠염띠염 보도하는 사건들이란 각 지방에서 일어나는 자그마한 무기획득투쟁정도이고 주력부대이동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는척 하고있다.
금년봄에 있은 놈들의 《내각회의》방침에 따라 급격한 병력증강과 시설확장을 다그치는 한편 산악전을 위한 전문부대를 꾸리고 군화의 밑바닥에 쇠등알을 박게까지 만들면서 시치미를 따고있는것은 폭풍이 일기 전의 정적과도 같은것이였다.
이상과 같은 정세판단에 대해서 차광수에게 의견을 물으시였을 때 그는 전적으로 동감이라고 하였다. 다른것과 달라서 정세의 변화가 뚜렷하고 그에 따라 전술을 바꾸어야 했기때문에
《다른 의견이 없습니다. 전적으로 동감입니다.》
차광수는 인지로 안경을 밀어올리며
이때
저녁식사를 끝내고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는걸.》
《대륙성기후다보니까 임의의 시각에 추위가 닥쳐올 준비가 다 된것 같습니다.》
《하기야 겨울에 추위가 온다는건 너무나 응당한것인데도 사람들은 언제나 이렇게 모르는척 하기를 좋아하거던… 그런데…》
《몸이라도 편찮은것이 아닙니까?》
《아닙니다.》
차광수는 인차 부정하였다. 그러면서도 좀체로 긴장을 풀지 않는것이였다. 이것 역시 비정상인것이다. 차광수는 본래 사업에 들어가서는 지나치게 심중하다고 할만 한 축이였지만 총체적인 생활에서는 락천적이였다. 언제나 너그럽고 여유가 있었다. 밤시간이면 대체로 그는 유쾌해지기마련이였다. 하루로정을 끝내고 다음날준비를 빈틈없이 갖춰놓은 다음에는 자못 상쾌한 기분으로 대원들속에서 너나들이로 오락을 하거나
《직접 나갔다온다?!》
그것은 정말 뜻밖이였다. 무엇때문에 이렇게 불쑥 그것도 례외적으로 문제를 제기하는지 알수 없었다. 이미 종합되고 분석이 가해진 정세자료는 믿을만 한 통보에 의한것이 아니였던가.
《필요하다면 그렇게 해야지. 그렇지만 내가 보기에는 그렇게까지 하지 않아도 되지 않겠는가 하는거요.》
《차동무, 우리가 지난봄에 안도에서 이 걸음을 처음 뗄 때 어떤 각오를 가졌는가를 상기해봅시다. 그러면 모든것이 명백해질수 있습니다.》
호상 명백했던것은 반일인민유격대가 조직되고 그 무장부대가 적극적인 활동을 벌리게 되면 그에 상응하게 적들도 민감하게 반응할것이라는것이였다. 이것은 이미 예견되여있었고 또 실지 사태가 그것을 명백히 실증한것이다. 유격대조직과 그 전후에 벌어진 사태가 바로 그것을 보여주었었다. 그렇다면 지금 적들이 적극적인 새 공격을 준비하기 위해 잠시 침묵하고있다고 본다면 거기에 무슨 류다른 의의를 부여할것이 있겠는가. 이렇게 일단 정세의 흐름을 포괄적으로 묶어놓으신 다음에
《새로운것은 아니지만 지금 우리는 호상의견을 교환하고 넘어가야 할것이 한가지 있기는 합니다. 그것은 일제의 반항이 어떤 규모와 전술을 띠고 나타나든지간에 우리는 당초에 세웠던 계획대로 반일련합전선을 옳게 형성하는 그것입니다. 지금사태를 한마디로 요약하면 우리는 사면포위에 들어있다고 말할수 있습니다. 보시오.》
《첫째 꼽아야 할것은 일제가 우리의 앞을 막으면서 단매에 전멸시키겠다고 덤벼들고있는것입니다. 다음으로는 위만군이 우리의 등을 치자고 합니다. 또 다음은
《문제는 이 포위에서 벗어나는 출로가 오직 하나밖에 없다는 그것입니다. 이 점에서 우리는 소사하를 떠나기에 앞서 세웠던 방침에서 변화가 없습니다. 바로 반일통일전선을 이룩하는 그 길만이 우리를 사면포위에서 빠져나갈수 있게 합니다. 우선 먼저 반일구국군을 잘 돕고 설복해서 반일공동전선을 취하는것입니다. 그들 상층부에 있는 패배주의적요소를 극복하여야 합니다. 다음은 우리가 량세봉을 만나 영향을 준것처럼 독립군을 잘 대해야 합니다. 그다음에 위만군입니다. 위만군은 일본군대와 달라서 달려들면 때려서 없애치울것이지만 반변해서 일제를 치겠다고 하면 그렇게 하도록 부추겨야 합니다. 이렇게 해서 우리는 세면을 풀고 일제 하나에 집중사격을 해야 합니다. 이가운데 우선 급선무는
오래동안 침묵한채
《아닌게아니라 바로 저도 그 점을 생각하고있었습니다.》
《그럴것입니다. 나의 짐작이 틀리지 않았습니다.》
《주영장을 제가 만나보는것이 어떻겠습니까?》
《그래서 돈화에 가보겠다는것입니까?》
《그렇습니다.》
《하긴 나도 지내보니까 오해와 불신을 푸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당사자와 마주앉는것입니다. 그래서 우리가 우사령을 만난적도 있잖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