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22 회)

12

(11)

 

밤이 되였다.

멍석을 깐 송정혁이네 집 안마당에는 온 마을사람들이 모여앉았다.

추녀끝 여기저기에 초롱을 달아 마당은 대낮처럼 환하였다. 맨앞에 손녀를 안은 상범이 어머니와 목청이 높은 북청집아주머니, 그와 한짝이 되는 강계집아주머니가 앉고 그 량옆으로 처녀들, 애기어머니들이 한벌 앉았고 그뒤로 청년들, 장년들이 자리를 차지하였으며 오른쪽 널마루우에다는 돗자리를 펴고 늙은이들을 모시였다. 본대로, 들은대로 유격대이야기를 하느라고 장내가 떠들썩하였다.

송정혁의 안내로 김일성장군님께서 방안에서 나와 토방에 내려서시였다. 별로 연설을 할 작정이 아니였지만 군중들의 요청이기도 하고 또 아는분들을 찾아 친히 인사를 드려야 했기때문에 모처럼 나오신것이였다.

장내에서 박수가 일었다. 온 마을이 떠나갈듯 한 박수가 계속 울리였다. 장군님께서는 군모를 벗고 허리를 굽혀 장내를 향해 정중히 인사를 하시였다. 그러신 후에 오른쪽으로 돌아서서 마루밑에 다가앉은 한 어머니에게 다가가 《옥이네 할머니, 안녕하십니까?》 하고 손목을 잡으며 허리를 깊숙이 굽히시였다.

《장군님.》

옥이네 할머니인즉 속탈때문에 수수뿌리를 달여먹인 상범이 어머니였다. 녀인은 버선발로 토방에 올라서서 절을 하였다. 뒤따라 십여명의 남녀로인들이 모두 같은 식으로 절을 하였다.

《속탈이 좀 어떻습니까?》

《그때부터 차츰 추서서 이제는 아무거나 막 먹습니다. 다 나았습니다.》

《참 다행입니다.》

《감사합니다.》

그때 로인들속에 끼였던 홍령감이 (옳구나!) 하고 속으로 부르짖으며 마루우로 한걸음 성큼 올라섰다.

《장군님! 안녕하셨습니까?》

후들후들 떨리는 두팔을 들어올렸다가 앞으로 천천히 내리우며 허리를 굽혀 절을 하였다. 그때 장군님께서 그를 부축해 일으켜세우시더니 그동안 건강했는가고 물으시였다.

《장군님! 덕분에 저는 이렇게 몸이 튼튼합니다.》

눈물부터 앞선 홍령감은 팔소매를 들어 눈굽을 훔치였다.

《저는 다시 이 세상에 태여난셈이지요.》

장군님께서는 건강해지기도 하였지만 전혀 모습을 알아볼수 없으리만치 달라진 홍령감의 아래우를 살피면서 만면에 웃음을 지으시였다.

옆에 섰던 송정혁이 농민협회 부회장사업을 아주 잘하고있다고 말씀드리자 장군님께서는 다시한번 고개를 끄덕이며 만족을 표시하시였다.

박수가 멎자 장군님께서는 군중들앞으로 함걸음 나서서 연설을 시작하시였다.

《여러분! 모두 안녕들 하셨습니까? 우리 반일인민유격대는 멀리 행군해가던 도중 이 푸르허의 여러분을 만나뵙기 위해 들렸습니다.》

장내는 물뿌린듯 고요해졌다.

김일성동지께서는 반일인민유격대창건이 가지는 의의를 말씀하시면서 여기가 그 첫걸음을 내디디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는것을 강조하시였다. 혁명근거지를 창설하는데 있어서도 푸르허는 큰 경험을 주었다.

이전에 한때 까다롭고 말썽이 있기는 하였으나 금년에 들어서면서 온 마을이 붉은 일색으로 혁명화되였다는것은 근거지를 창설하는데 있어서 그 첫 단계를 이루는 귀중한 본보기로 되였다. 반혁명이 가셔진곳에서 혁명군중들의 열의와 창발성이 얼마나 큰 력량으로 자라나는가를 잘 보여주었다.

일제통치가 아무리 악랄하다 하더라도 푸르허처럼 하면 자기 지역을 자체의 힘으로 지킬수 있고 그 누구도 침범하지 못하도록 할수 있다. 여기는 평균 매 집 한사람이상 유격대나 또는 적위대에 참가하였으며 정치생활을 할수 있는 모든 성원이 조직에 다 들어 혁명사업을 하고있다.

《어떻습니까?》

그이께서는 연설에서 기본문제를 간명하게 말씀하신 후에 장내를 한바퀴 둘러보면서 물으시였다.

《일제와 결탁한 악질지주를 그냥 둬두고, 안윤재와 같은 주구들이 살판치는것을 그냥 둬두고, 또 주의자들이 있어서 〈토벌〉이 있게 된다는 한심한 생각을 하는 그런 사상을 그냥 두었다면 이 푸르허가 어떻게 되였을것 같습니까?》

《망했을것입니다.》

《〈토벌〉맞아 재더미가 됐을것입니다.》

군중들속에서 일어난 대답이 옳다고 긍정을 표시하시고나서 다시 연설을 계속하시였다.

《그러니 푸르허의 경험은 무엇입니까? 그것은 곧 혁명만이 우리를 구원할수 있다는 그것입니다.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서도 혁명을 해야 하며 빼앗긴 조국을 찾기 위해서도 혁명을 해야 하며 압박과 착취를 영원히 없앨수 있는 사회주의사회를 건설하기 위해서도 혁명을 해야 합니다. 우리는 혁명의 시대에 태여났으며 또 혁명을 하기 위해 태여났습니다.》

김일성동지께서는 이때 자그마한 산간농촌마을-이 푸르허의 경험을 총화하면서 또 다음고비, 혁명을 다시 한계단 추켜올릴데 대한 커다란 하나의 구상을 익히시였다. 청중을 돌아보시는 순간 번개처럼 뇌리를 스치고 하나의 굵다란 직선이 가로 건너갔는데 그것은 푸르허에서 동쪽으로 뻗어 왕청을 련결하는 선이였다.

김일성동지께서는 다시 청중을 향해 이미 예정하신 순서대로 유격대를 강화할데 대하여, 혁명근거지에서의 과업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하고 간단한 연설의 끝을 맺으시였다.

《여러분! 이 모든것이 어데서 온것이겠습니까? 자랑스러운 푸르허도, 또 여러분과 함께 이렇게 반갑게 오늘 만날수 있는것도 모두 여기 모인 여러분들이 혁명을 제때에 받아들였고 또 미력한 저를 잘 도와주고 보살펴주었기때문입니다.》

이때 그이의 시선이 울상이 된 강계집아주머니의 얼굴에 우연히 가멎었다. 그러자 강계집아주머니는 자리에서 벌떡 일어나 군중들을 헤치고 앞으로 걸어나왔다.

《장군님!》

얼굴이 둥그런 그 녀인은 눈물이 글썽해서 팔을 내밀고 땅에 엎드리였다.

《용서해주십시오. 저는 그런줄은 전혀 모르고 우물길에서… 그만… 잔치날도 그렇게…》

장군님께서는 급히 녀인의 팔을 들어 일으켜주면서 나직이 말씀하시였다.

《용서를 빌것이 뭐 있습니까. 오히려 아주머니가 저를 도와주었습니다. 그렇게 한것이 밀정들 눈에서 저를 보호해준것입니다. 그때는 정말 우물길이 미끄러워 발을 붙이기 힘들었습니다. 그리고 아주머니는 그때 다른 사람과 같이 상에 받쳐주지는 못했지만 떡을 두곱이나 주지 않았습니까.》

그이께서는 웃음을 터뜨리면서 녀인을 군중을 향해 돌려세우시였다.

《그러니 다시는 〈머슴〉 천대하는 세상이 오지 않게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어서 들어가십시오.》

장군님께서 동의를 구하듯이 좌우를 둘러보시였을 때 그옆에 앉았던 북청집아주머니가 끌끌 혀를 차며 이 기쁜 날에 울긴 왜 우느냐고 핀잔을 주며 녀인의 손을 끌어다 자리에 앉히였다.

장군님께서는 유격대원들을 환대해준데 대하여 거듭 감사를 드리고 군중들속에 앉으시였다.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