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18 회)

12

(7)

 

올해 스무세살인 송정혁은 오래전부터 푸르허에서 살았다.

안도에서 돈화로 넘어가는 도중에 그리 크지 않은 마을이 있고 그보다 한 5리 떨어진 곳에 송정혁이가 살고있는 또 그만한 마을이 있었는데 사람들은 그것을 통털어 푸르허라고 불렀다. 어느 모로 보나 푸르허는 별로 신통한것이 없을것 같은데도 송정혁은 기회가 있을적마다 푸르허를 자랑하였다.

차광수와 담화를 끝낸 송정혁이 우등불가에 이르렀을 때 3소대동무들이 마침 전광식을 둘러싸고 이야기판을 벌리고있었다. 오래동안 지하공작에서 단련된 송정혁은 어떤 환경에서든지 곧 적응될수 있었고 인차 사람들과 친숙해질수 있었다. 전광식이 옆에 앉은 그는 기회를 보아가다가 슬며시 푸르허에 대한 자랑을 내놓았다. 얼핏 보건대는 외형이 전광식이와 매우 비슷한 점이 있었지만 성격은 전혀 딴판이였다. 전광식은 빈틈이 없고 침착하고 용의주도한 편이라면 송정혁은 거칠게 듬성듬성 뛰여가면서 커다란 륜곽을 그어 하나의 구도를 이루어놓았다.

한쪽은 정교하게 다듬어진 같은 규격의 돌로 쌓아올린 성벽에 비길수 있다면 다른 하나는 막돌을 주어다가 틈새를 맟추어 그만 못지 않은 견고하고 보기 좋은 성벽을 만든것이라고도 할수 있었다.

이 지방에서 흔히 볼수 있는 산간지대 농민차림으로 토스레덧저고리를 걸치고 눈섭이 시꺼먼 송정혁은 우선 푸르허가 안도와 돈화의 두어름에 놓였다는것외에 혁명사업을 위해, 특히 반일인민유격대를 창건하는데 있어서 가장 중요한 지점의 하나였다는것에 모를 박았다.

좌우로 삑 둘러앉았던 10여명의 대원들은 이제 부대가 곧 그곳으로 들어가게 된다는것을 알고있었으므로 송정혁의 말에 큰 흥미를 느끼였다. 이미 그러리라는것을 짐작한 송정혁은 적당한 대목에서 말을 뚝 끊고 주머니를 들추어 담배쌈지를 꺼내 누릿누릿한 잎담배를 손바닥에 놓고 부서뜨려 종이에다 큼직하게 말아물었다. 굴뚝처럼 연기가 물물 나는 코를 이리저리 돌려가면서 그는 우선 푸르허가 얼마전, 정확히 말하면 작년 명월구회의가 있기 전만 해도 반동의 손에 들어 꼼짝 못하던 마을이였다는것을 례를 들어가면서 설명하였다.

집을 떠나 룡정거리 근방에서 빙빙 돌면서 한 3년동안 공작을 하다가 조직의 부름에 의해 자기 마을에 들어간 그는 지난 몇해동안에 네번째로 파견되는 푸르허의 지하공작원이였는데 앞서 세명은 이곳 반동들의 밀고에 의해 한달도 못가 체포되였다.

지하공작에 얼마간 경험은 있었지만 별로 남들보다 특이한 점이 없었던 그는 불안하고 자신이 없었지만 자기 집이 있고 또 몇집의 친척이 있다는것과 자기 마을이 그런 처지에 있다는데 대한 일종의 책임감과 분개심의 충동에 의해 조직의 위임을 선뜻 받아들였던것이다.

《기가 막힙디다. 이런 판인데 내라고 무슨 용빼는수 있습니까?》

송정혁은 옆에 앉아 수첩에 무엇을 적고있는 전광식의 무릎을 흔들어 동의를 구하고나서 말을 계속하였다.

《작년말에 집에 들어간 나는 아무것도 못하고 매일 산에 가 나무를 한짐씩 해다가는 함실에 불을 때고 누워서 닭알낟가리를 올리가려 내리가려 했습니다. 원래 우리 집은 화전농이기는 했지만 로력자가 많아 착실하게 농사를 지어 과히 구차하지 않게 살았었는데 우리 형제들이 제뿔내기로 다 흩어져나가는 바람에 즉 다시말해서 좀 〈몰락〉했던거지요. 이런 형편에서 공작을 해야 되는데 무엇부터 어떻게 해야 할지 엄두를 못내고있었습니다. 얼마간 그러고있노라니 벌써 마을의 보위단장 안윤재란 놈이 거미줄을 늘여놓고 냄새를 맡자고 하지 않습니까. 안윤재란 놈은 이 일대에서 제일 악질로 소문난 놈인데 그한테 걸려 숱한 사람이 희생되였습니다. 나는 옴짝달싹 못하고있었습니다.

그런데 하루는 조직에서 련락이 왔습니다. 급히 20리밖에 있는 련락장소에 가보니 글쎄 김일성동지께서 저를 부르신것이 아니겠습니까. 그이께서는 나더러 그 마을이 매우 복잡한 모양인데 같이 가보자고 말씀하시였습니다. 〈안됩니다. 절대로 안됩니다.〉 나는 부득불 그이의 신변을 생각해서 단호하게 이렇게 대답을 올리지 않을수 없었습니다. 동무들이 더 잘 알고계시겠지만 명월구에서 무장을 들데 대한 방침이 세워진 직후에 전체 우리 정치공작원들은 두개 요소 즉 사람과 총, 이것을 위해 군중속에 들어가지 않았습니까. 그중에서도 안도가 중심인데 푸르허가 지리적으로나 조직의 위치에 있어서 요점이였습니다. 사령관동지께서는 〈어쨌든 누가 뚫던지 첫 돌파구를 하나 내야 진격로가 열린것이 아닙니까.〉 하고 굳이 가보실것을 주장하시였습니다. 〈잠간 다녀오시겠습니까. 얼마간 그곳에 계시겠습니까?〉 〈그것은 가보고 필요에 따라 결정합시다. 범을 잡자면 범의 굴에 들어가야 한다는 속담이 있지 않습니까. 내 보기엔 지금까지 여러 동무들이 그곳에 가서 실패했는데 신사식으로 사업하지 않았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리는 그렇게 하지 맙시다. 맨 밑바닥으로 들어갑시다. 최하층으로 말입니다.〉 하고 그이께서 웃으시는것이였습니다. 〈최하층이라면?〉 하고 내가 묻자 그이께서는 〈내가 지금 생각하기엔 어느 집의 머슴으로라도 들어가야 할것 같습니다.〉 라고 하시는것이 아니겠습니까. 나는 깜짝 놀랐습니다. 더구나 우리 집 머슴으로 된다는데는 선뜻 동의할수 없었습니다. 〈이미 내가 동무한테 머슴을 하나 데려와야겠다는 소문을 내라고 하지 않았습니까.〉 하고 그이께서는 한달전에 나에게 준 지시를 상기시켰습니다. 이렇게 되여 그이께서 면밀하게 짜신 구상에 따라 나는 행동하게 되였던것입니다. 나는 수수한 머슴군차림을 하신 그이와 함께 발구에 앉아 령길을 넘어 해질녘에 마을에 들어섰습니다. 집에는 아버지와 누이동생이 있어서 인사를 시켰습니다. 아버지는 좋은 사람을 구했다면서 매우 기뻐했습니다. 이때 안윤재란 놈이 마치 기다리고있었다는듯이 기신기신 안뜨락으로 들어서며 이것저것 캐물었습니다. 그놈을 적당히 얼려 넘기고있는데 갑자기 기마경찰대가 한무리 달려들었습니다. 〈아차, 큰일났구나.〉 하고 나는 몸을 와들와들 떨면서 안마당으로 다급히 뛰여들어갔는데 그때 벌써 그이께서는 토방을 내려서며 바깥벽에 걸렸던 저의 노닥노닥한 솜덧저고리를 꿰입으시고 마당에 놓인 도끼를 집어들고 모태에 놓인 장작을 패기 시작하시였습니다. 밖에서는 벌써 왜깍대깍 대문걷어차는 소리가 나고 말들이 투레질을 하더니 박차가 절렁절렁 울렸습니다. 나는 이때 좀 대담해질 작정으로 담배를 꼬나문채 뒤짐을 지고 어정어정 걸어나가며 왜 그러느냐고 버젓이 물었습니다.》

송정혁은 불이 꺼진 담배를 훅훅 불어보더니 불무지에서 불꼬치를 하나 집어들어 다시 담배불을 붙이였다.

《아하, 그렇지. 알만 하웨다, 알만 해. 여보 최칠성동무, 지난봄에 그러루한 이야기가 돌았댔지. 소사하에 있을 때 차기용동무가 들었다는 어느 아주머니 이야기 말이요.》

진봉남이 활기를 띠며 옆에 앉은 최칠성의 어깨를 툭툭 갈기며 한마디 보태였다.

《나야 그때 그런걸 들을 겨를이 있었소? 〈공산당선언〉 잘 대지 못해 박흥덕동무한테 골탕을 먹고 정신이 얼떨떨해있던 판인데…》

공책에 국문을 쓰고있던 최칠성은 꺼칠꺼칠하게 수염이 자란 턱을 손등으로 슬슬 문대면서 송정혁의 다음말을 기다렸다.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