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5 회)
1
(5)
량강구에서 15리 산으로 올라가면 작은데기라는 곳이 나진다.
잡관목이 엉킨 언덕밑에 자그마한 귀틀집이 한채 들어앉아있었다. 어느때 누구에 의해서 생겨났는지는 딱히 알수 없으나 짐작컨대 감자부대를 일구던 농막이거나 사냥막으로밖에 쓰일수 없는 엉성한 이 집은 오늘 귀한 손님들을 많이 맞아들이게 되였다.
몸집이 크고 동작이 매우 침착한 이 집주인이며 비밀통신처 책임자인 박흥덕은 수수한 농민차림을 한채로 총을 안고 바위틈에 숨어서 보초를 섰다. 집뒤에는 다래덩굴이 구름처럼 엉키였고 앞에는 말잔등같이 휘여넘어간 재등에 방금 싹이 돋아난 감자밭이 누워있었다. 그보다 좀 삐여진 왼쪽봉우리는 유난히 오똑 솟아있었는데 그곳에 올라만 가면 사방을 한눈으론 내려다볼수 있었다.
박흥덕은 어제오늘사이에 십여명 동지들을 맞아들이였다. 딱히 누가 귀뜀해준것은 아니였지만 그의 짐작에 각 지구 정치공작원들임에 틀림없었다. 소사하에서 열리게 되는 회의에 참가하러 오는 사람들이였는데 예비집결장소인 여기 비밀통신처에 모여 기다리다가
회의와 관련한 일을 주관하는 사람은
박흥덕은 겨우내 혼자서 이곳 비밀통신처 공작을 맡아보았다. 그가 혁명투쟁에 참가한것은 벌써 3년째 잡힌다.
지난해 12월 명월구회의에서
하루밤, 하루낮을 차광수와 이야기를 하고나니 가슴이 시원하게 열리고 여간 신명이 나지 않았다.
차광수의 말에 의하면
봄볕이 호듯호듯 내리쬐는 바위벽을 등지고 앉은 박흥덕은 이제나저제나 하며 산기슭 오솔길을 지켜보고있었다.
지금 귀틀집에는 굉장한 동무들이 모여있었다. 나이는 태반이 스물안팎인데 이름은 벌써 세상에 뜨르르했다. 거개의 동무들이 《ㅌ.ㄷ》시절부터 길림과 카륜, 오가자 등지에서
바람소리 스산한 화전땅의 일대에서부터 함성이 우렁차던 길림거리를 지나 걸음마다 사선을 넘어야 하는 남북만주 설한풍 휩쓰는 광야를 거쳐 오늘에 이르는동안 일편단심
그중에서 좀 다른것은 리혁이와 박기남인데 이들은 둘 다 서른이 가까왔고 오래동안 감옥살이를 하다가 나왔으며 또 둘 다 《간도공산당사건》적부터 신문에 들썩하게 이름이 난 사람들이다.
박기남은 3년간 서대문감옥에 갇혔다가 지난 겨울에 만기출옥하였다. 리론도 있고 웅변도 있었던 그는 감옥생활을 하는동안 얼마간 기가 꺾인듯 하였으나 아직 정열이 대단하였다.
감옥에서 나온 그는 경찰의 미행을 솜씨있게 떼버리고 옹근 3개월동안 병치료를 하면서 은밀히 조직의 줄을 찾았다. 간도에 널린 이전조직들은 몇차례의 사건을 겪은 후에 모두 헤실바실해졌고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달라졌다. 일부는 영영 자취를 감추었고 일부는 투쟁을 포기하였으며 일부는 일제앞에 투항변절하였다.
빈방에 누워서 몸의 부종을 내리기 위해 미나리를 달인물을 하루에도 몇사발씩 들이키면서 그는 타락한자들, 변절자들에게 지독한 욕설을 퍼부었다. 《사이비공산주의자들》, 《행세식맑스주의자들》, 《가짜들》, 《유다들》 하고 악담을 하였다.
하던중 문득 그에게 한가닥 서광이 비껴왔다. 그는 이미부터 알고있던 친구를 통해서
그후 그가 본 사람들은 모두 맑고 깨끗하고 투지에 충만된 동무들이였다. 《서울파》다, 《상해파》다, 《이르꾸쯔크파》다 또 무슨 《파》다 하는 일체의 과거의 오염에서 벗어난 생신한 새 세대들이였다. 그리하여 새것에 마음이 끌린 그는 몸도 채 추서기전에 다시 투쟁선상에 나서게 되였던것이다.
박흥덕은 총을 가슴에 안고 빤하게 내려다뵈는 귀틀집마당을 기웃해 보았다. 그런 사람들이 서로 헤여져있다가 오래간만에 만났으니 얼마나 굉장한 말들이 오고가겠는가. 아무리 귀를 기울여봐야 말소리가 들릴리 없었지만 박흥덕은 연신 그쪽으로 얼굴을 돌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