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 회
서 장
1960년 3월초.
우불구불한 소나무들이 서있는 야산기슭을 따라 승용차들이 달리고있었다. 그 기슭을 돌아서자 넓은 골안이 들여다보이고 등성이의 과수원을 등진 농가들이 해볕을 받으며 오붓하게 모여앉은 농촌마을이 나타났다.
《저 마을에 좀 들려봅시다.》
앞의 승용차에서 시창밖을 살펴보시던
승용차들은 큰길에서 오른쪽으로 꺾어들었다.
며칠전에 내린 봄눈이 아직 희슥희슥 남아있는 논벌가운데를 꿰지른 좁은 길로 한동안 달리던 승용차행렬은 마을앞에서 멈추어섰다.
진회색 중절모자에 검은 봄외투를 입으신
논벌에서는 봄갈이를 앞두고 농민들이 두엄을 소달구지로 마을에서 실어오기도 하고 지게로 날라다 논에 펴고있었다. 녀인들이 대다수이고 늙은이와 허리가 가느다란 애젊은 총각도 보였다.
조합원들의 차림새가 다 제각기였다. 남자들이 쓰고있는 방한모는 털모자, 군대솜모자 등이였고 녀인들은 목도리를 두르거나 머리수건을 겹으로 쓰고있었다. 그들이 입고있는 겉옷들은 솜을 댄 덧옷, 누빈솜옷, 두루마기 등이였으며 치마와 바지, 신발들도 여러가지였다. 국가에서 아직 농촌에 작업복과 신발, 솜옷을 공급해주지 못하고있었다.
그래도 새해농사에 떨쳐나선 농민들의 열의는 대단했다. 농업협동화가 끝난 해의 농사작황이 훌륭했으나 그 다음해인 작년에는 더 오르지 못했다. 원인을 분석하신
얼굴이 갱핏하고 단단해보이는 농민이 지고있던 지게를 급히 벗어놓고 다가와 인사를 드리였다.
《예, 수고합니다. 여기는 무슨 리입니까?》
《이아래 부락도 선도리요?》
《그렇습니다.》
《여기는 몇작업반이요? 2작업반? 작업반장동무가 어디 있소?》
《제가 2작업반장입니다.》
《이 조합이 잘살지 못하는것 같구만.》
작업반장은 얼굴이 추위에 퍼렇게 되였지만 눈빛만은 반짝였다.
《아이들도 교복을 입지 못했소.》
반장은 황급히 수일내로 다 해결된다고 말씀드리였다.
《수일내로 해결된다?》
장업반장은 갱핏한 얼굴이 더 퍼래지면서 어쩔줄 몰라했다.
피창린도당위원장은 사실대로 말씀드리지 못하는 그의 심정이 리해되였으나 못마땅해하였다.
《고급중학교를 졸업했소?》
총각은 솜모자가 없는지 모표를 뗀 학생모자를 쓰고있었다.
《고중을 졸업했습니다.》
애된 목소리였다.
《부모들도 조합에서 일하오?》
《예, 조합원입니다.》
어른스럽게 대답하느라 애된 목소리를 굵게 내려고 하는데 얼굴이 온통 빨개졌다. 어른들이 입던 기운자리가 보이는 덧옷을 후렁후렁하게 입고있지만 그에게서는 젊음의 열기가 풍기고있었다
《귀가 시리지 않소?》
《시리지 않습니다. 추위가 풀리고있습니다. 이제는 봄입니다.》
학교물을 먹은 청년의 씩씩한 대답을 들으시며
《부모님들의 뒤를 이어 협동벌에 진출한것은 잘한 일이요.》
청년이 기특했다.
《집에 로력자가 몇이나 되오?》
《남편은 뭘하오?》
순간 눈길을 떨군 녀인은 머뭇머뭇 대답을 드리였다.
《전쟁때… 원쑤놈들에게 학살당했습니다.》
《아이들은 있습니까?》
《예…》 녀인은 들릭락말락하게 대답을 드리였다.
《아이들이 몇이요?》
《둘입니다.》
《아이들도 키울래 농사도 지울래 힘들겠소.》
녀인은 숙이고있던 머리를 드는데 커다란 검은 눈에서 감사의 눈물이 흐르고있었다.
《피살자가족이라고 나라에서 보살펴주어 애로없이 살고있습니다. 아이들은 다 공부를 합니다. 리에서는 우리 마을에 문화주택을 짓자 맨처음으로 저에게 배정해주었습니다.》
《수고하오.》
그의 손을 잡아주시고 제대군인가고 물으시였다. 그는 제대군관이라고 말씀드리였다.
《여기 뜨락또르가 몇대요?》
달구지길로 들어서시면서 관리위원장에게 물으시였다.
《지금 한대가 저기 6반에서 일하고있습니다.》
《열성이 대단한것은 좋은데 여기 농민들의 생활이 어떻소?》
《생활은 좀 곤난합니다.》
관리위원장은 제대군관답게 허심하고 솔직한 사람이였다.
《내가 보건대도 그럴것 같소. 농민들의 옷이 헐었습니다.》
《저희들이 일을 쓰게 못하고있습니다.》
《아직 국가가 농민들에게 작업복과 솜옷을 공급해주지 못하고있소. 이불들은 다 제대로 덥고 자오?》
《그렇지 못합니다. 5반에 24세대가 사는데 19세대가 이불없이 삽니다.》
이렇게 말씀드리는것이 부끄러워 관리위원장은 눈길을 들지 못했다.
《전기는 다 들어왔소?》
《3개 작업반에 아직 전기가 들어오지 못했습니다.》
《지난해에 농사를 어떻게 지었소. 알곡 호당분배를 얼마나 했소?》
관리위원장이 알곡분배정형을 말씀드리고 《그런데 현금수입은 없습니다.》하며 얼굴을 붉혔다.
《어떻게 되여 없소?》
《국가에 진 빚이 많기때문입니다.》
《빚이 얼마요?》
《협동조합이 리단위로 통합된 때부터 넘어온 빚인데 16만원입니다.》
현금은 무엇으로 버는가 알아보시니 알곡을 수매한 돈으로 번다고 했다.
《조합에서 알곡생산과 함께 경리를 다각화해서 현금수입을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소.》
《내가 기양뜨락또르공장에 가보니까 그곳 로동자들이 올해에 뜨락또르를 3천대 생산하여 농촌에 보내주겠다고 궐기하면서 천리마작업반쟁취를 위한 결의목표에 그것을 올리고 투쟁하고있습니다. 머지않아 여기 논벌에서도 많은 뜨락또르들이 소리치며 달리게 됩니다. 화학비료도 올해에 많이 공급하게 됩니다. 신심을 가지고 일합시다.》
관리위원장은 얼굴이 환해져서 격정에 넘쳐 말씀드리였다.
《문화주택을 어떻게 지었는지 봅시다.》
다 일나가고 조용한 마을에 들어서자 관리위원장은 어느 집을 보여드릴지 몰라 머뭇거리다가 토방에 아이들의 신발이 놓여 있는 집으로
《장판을 하지 못했구만.》
둥글상을 펴놓고 둘러앉아 공부를 하던 녀학생들이 일어서며 소년단경례를 했다. 그들은 다 교복들을 입지 못하고있었다.
《너희들 몇학년이지?》
《중학교 2학년입니다.》 이 집 아이인 녀학생이 대답을 드리는데 목소리가 맑고 쟁쟁했으며 까만눈이 별처럼 반짝이였다.
《학생복들은 사입지 못했니?》
풀이 죽은 아이들이 고개를 떨구었다.
녀학생들에게 앉아서 공부를 하라고 이르신
농민들에게 작업복과 신, 특히 솜옷을 공급하지 못하고있는것은 나라사정때문에 그렇다치고 그래도 아이들에게만은 외투와 교복을 만들어주자고 했는데 그것도 아직 충족시키지 못하고있다. 도시의 사무원, 로동자들은 다 솜옷과 작업복들을 입고있으며 학생들도 외투와 교복을 눅은 값으로 공급받아 입고 다니는데 농촌에서는…
쌀을 생산하여 온 나라를 먹여살리는 농민들은 그러한 국가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있다. 문화주택이라고 지은 이 살림집은 또 어떤가. 초가에 기와를 씌운것 같은 지붕, 담벽과 나무기둥사이의 틈사리, 어수선한 집언저리, 삐뚤서한 굴뚝…
《집을 참 너절하게 지었소. 이건 농민들에 대한 관점문제요.》
관리위원장이 얼굴이 벌개지며 황급히 말씀드리였다.
《여기 집들은 농촌건설대가 조직된 초기에 건설대
《이렇게 집을 망탕 지어주는것은 농촌과 농민을 업수이 여기는데서 오는 낡은 관념과 사상때문이요.》
《이 집이 이 동무의 집입니다.
관리위원장이 설명해드리였다.
《아 그렇소? 주인없는 집에 와서 승인없이 돌아보고있습니다. 허…》
《집이 루추합니다. 일이 바쁘다고만 하면서 거두지 못했습니다.》
《마음에 듭니다. 저는 오막살이에서 태여나 오막살이 신세를 면하지 못하고 살았는데 이런 문화주택에서 살게 되니 별천지 같습니다.》
《우리 농민들이 지난날 가난에 시달리고 지주놈들에게 억눌려 살아오다보니 이런 집도 과남하게 여기고있소. 그러니까 건설대도 농촌집을 이꼴로 지어주었단말이요.》
《물론 이 집을 오막살이에 비하면 별천지에서 사는것 같다고 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아주머니, 이제는 농민들도 도시의 로동자, 사무원들처럼 문명하게 살아야 하며 그렇게 살기 위해 노력해야 합니다.》
《아주머니, 작년에 몇공수를 벌었습니까?》
《420공수 벌었습니다.》 녀인이 이렇게 대답을 드리며 부끄러운듯 고개를 떨구었다.
그러나
《현금은 얼마 받았습니까?》
《460원 받았습니다.》
그러니 달마다 평균 38원을 받은것으로 된다.
《일을 많이 했습니다.》
녀성농민을 치하하시였지만 그렇게 벌어도 로동자들의 한달 평균 생활비보다 퍽 적다는 생각으로 마음이 개운치 않으시였다.
농민들의 로동은 아직 고되고 생활도 로동자들에 비해 훨씬 못하다. 지금 로동자들은 하루에 8시간 일하면 되지만 농민들은 12시간 일하는 때가 많다. 그 일도 대부분 바람불고 해볕이 따가운 들에서 허리를 굽히고 하는 손로동이다.
뜨락또르가 부족하여 녀성들이 등짐으로 두엄을 져나르는데 그 일이 얼마나 고되겠는가. 이렇게 일하는데도 로동자들과의 차이가 크다. 로동자들은 한사람당 생산액이 농민들보다 높지 못하여도 그들에게는 작업복과 신발을 공급해주고 집도 배정해주지만 농민들에게는 그렇게 해주지 못하고있다.
《이 아주머니의 집을 개축해서 잘 꾸려주는것이 좋겠습니다. 천정과 벽, 장판도 다 새로 바르고 마당에 닭장과 돼지우리도 만들어주시오.》
피창린이
《그렇게 하시오.》
관리위원장과 녀성조합원의 손들을 잡아주시고 차에 오르신
차창밖으로 둥그스름한 야산들과 농촌마을들, 농민들이 두엄을 실어내고있는 논벌들이 흘러지나갔다.
차창밖을 내다보시며
선도리는 별로 크지 않은 농촌마을이였으나 그곳의 형편은 오늘 우리 농촌이 안고있는 문제를 그대로 시사해주고있었다.
지금 김철과 황철에서는 대형용광로들에서 쇠물이 끓어번지며 쏟아져내리고있다. 그 쇠물은 강철로 되여 뜨라또르와 자동차, 불도젤, 공작기계들이 기계공장의 정문을 지나 건설장과 탄광, 공장, 농촌들에 나가고있다. 방직공장들에서 천필이 흘러내리고 평양을 비롯한 도시들이 새로운 모습으로 일떠서고있다.
이러한 로동계급의 활화산처럼 용솟음치는 열의속에서 강선제강소에서는 강재 6만톤생산능력의 분괴압연기에서 9만톤생산을 결의하고 12만톤을 생산해내는 기적을 창조하였다. 천리마대진군이 시작되여 온 나라에 창조의 열풍이 세차게 일어나고있다.
우리의 사회주의농촌도 농업협동화의 승리에 토대하여 알곡생산이 늘어나고 농민들은 문화주택에 들어가 살기 시작했다.
뜨락또르와 자동차가 협동벌을 달리고있다. 하지만 당이 제시한 농촌기술혁명과업은 첫발자욱을 뗐다고 보아야 할것이다.
아직 농촌마을들에는 초가집이 있으며 대다수 농민들은 작업복도 솜옷도 채 입지 못하고있다. 교복도 입지 못한 아이들이 그래도 노래를 부르며 학교로 오가고있다.
로동조건과 환경에 있어서도 로동자들에 비해 불리하며 손로동이 대부분이다. 로동자들보다 현금수입도 낮은 상태이다.
(선도리의 방금 만나본 그 피살자가족녀성이 농촌에 있지 않고 도시에 나가 어느 직장에 들어가서 일한다고 하면 본인에게 700그람, 아이들에게 400~500그람의 식량이 공급될것이며 로동복과 신발도 거저 차례지고 집도 받을것이다.
그리고 생활비에서 매달 조금씩 절약한다면 아이들에게 옷과 신발도 사신킬수 있고 가장집물도 차려놓을수 있게 될것이다. 새 솜옷이 없어 기운 솜옷이나 덧옷을 입고 일다니지는 않게 될것이다.)
이것은 우리 로동계급의 국가가 풀어야 할 과제이다. 우리에게 지워진 숙제이다.…
농민들이 농업협동화를 통해 사회주의대가정에 들어왔는데 한 집안에서 큰 상과 작은 상으로 차이나게 차려놓고 산다면 무슨 한식솔이라고 할수 있겠는가.
사회주의적협동화는 농촌문제의 종국적해결에서 한 단계에 지나지 않았다.
농촌문제 해결의 새로운 단계가 시작되였으며 여기서 해결해야 할 문제들은 더 심각할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