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숭고한 의리와 뜨거운 동포애를 지니시고

《각하》라는 말을 쓰지 않은 평양상봉

 

주체89(2000)년 민족분렬사상 처음으로 진행되는 력사적인 평양상봉을 준비하고있던 때였다.

어느날 위대한 장군님께서는 공화국북반부를 방문한 남측 특사를 몸소 만나주시였다.

장군님께서는 남측 특사에게 평양상봉과 관련한 구체적인 가르치심을 주시고나서 돌아가면 《대통령》에게 이번 상봉과 회담에서 서로 《각하》라는 말을 하지 말데 대하여 이야기해달라고 하시면서 나는 《대통령께서》라고 하고 그분은 나보고 《위원장께서》라고 하면 될것이라고 말씀하시였다.

순간 남측 특사는 놀라지 않을수 없었다.

《각하》라는 말은 높은 직위에 있는 사람에 대한 존칭의 뜻으로 부르는 부름말로서 외교의례상관례로 되여있다.

하지만 이 부름말에는 존경의 뜻을 나타내면서도 격식과 간격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그에 비해 《께서》라는 말은 웃사람에게 존경심을 표시할뿐아니라 친근감도 강하게 느끼게 한다.

그이의 말씀속에는 격식을 싫어하시고 김대중《대통령》과 같은 민족, 같은 동포로서 허물없이 대화를 나누시려는 장군님의 깊은 뜻이 담겨져있었다.

남측 특사는 장군님께서 지니신 한없이 고결한 도덕성과 뜨거운 동포애에 감동을 금치 못해하였다.

이렇듯 말을 한마디 해도 어떻게 하면 민족의 화해와 단합, 통일에 이바지하게 하겠는가 하고 마음쓰시는 장군님의 의도에 따라 평양상봉에서는 《각하》라는 말이 사용되지 않게 되였다.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