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견결한 통일의지를 지니시고

함께 나누신 동지죽

 

한해가 저물어가는 주체70(1981)년 12월 22일 몇몇 일군들을 부르신 위대한 장군님께서는 오늘이 무슨 날인지 아는가고 물으시였다.

이날은 국가적명절도 아니고 또 어떤 기념일도 아니여서 모두가 서로 얼굴만 쳐다보고있는데 그이께서는 오늘이 동지날이라고, 그래서 오래간만에 동지죽을 쑤었기에 동무들을 불렀다고 하시는것이였다.

그제서야 그이께서 부르신 의도를 알게 된 일군들은 그만 목이 메여올랐다.

하지만 그처럼 바쁘신 장군님께서 동지날을 잊지 않으시고 동지죽을 함께 나누시려 자기들을 불러주신데는 사연이 있을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깊은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뜻깊은 날이였다.

동지날이라고 하면 년중 밤이 제일 길고 낮이 제일 짧은 날이며 이날에 팥죽을 쑤어먹는것은 우리 인민의 전통적인 민족적풍습이였다.

한해농사를 지어 알알이 골라두었던 잘 영근 팥을 삶아 걸러서 별식으로 끓인 죽을 온 식솔이 단란하게 둘러앉아 먹는것은 우리 인민의 아름다운 풍속이였다.

장군님께서는 일군들을 식탁으로 이끄시며 이렇게 말씀하시였다.

《동지날을 쇠며 동지죽을 먹는것은 좋은 일입니다. 동지죽을 먹으면서 한살을 더 먹었다는 생각과 함께 지난해를 돌이켜보며 새해의 결의를 다지게 되니 좋고 이웃들이 서로 동지죽을 나누어 먹으면서 화목을 도모하니 또한 얼마나 좋습니까.》

그러시고는 팥죽을 많이 들라고 권하시며 즐겁게 웃으시였다.

식사를 마쳤을 때 그이께서는 이렇게 모두 한가마에 끓인 음식을 나누어 먹으니 얼마나 좋은가고 생각깊은 어조로 뇌이시였다.

이윽고 그이께서는 나라와 민족이 분렬된채 또 한해가 저물어간다고 하시면서 절절히 이르시였다.

《동무들, 조국통일을 해야 하지 않겠습니까.》

그이의 음성은 조용히 울렸으나 그 말씀속에는 조국을 통일하지 못한채 또 한해를 보내며 동지날을 맞는 괴로움이 무겁게 실려있었다.

잠시후 장군님께서는 조국을 통일하고 남녘동포들과 이렇게 한자리에 모여앉아 동지죽을 나누게 되면 얼마나 좋겠는가고 하시며 그날을 하루속히 앞당겨야 한다고 말씀하시였다.

동지날 동지죽 한그릇을 앞에 놓으시고도 분렬된 조국과 남녘겨레들을 생각하시며 조국통일의 의지를 굳히시는 위대한 장군님.

잊지 못할 그날에 그이께서는 마음속으로 온 겨레와 함께 동지죽을 나누시며 조국통일을 하루빨리 앞당기시려는 철석같은 신념을 다시한번 심장에 새기시였으니 참으로 뜻깊은 동지날이였다.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