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견결한 통일의지를 지니시고
압록강반에 울린 총성
주체57(1968)년 7월 20일
차창밖을 내다보시던
그냥 지나기엔 아쉬운 고장이요. 강바람도 쏘일겸 잠간 내렸다 갑시다.
《신파군 신상리 민탕입니다.》
《항일의 나날에 압록강반에 메아리치던 조국광복의 총소리가 지금도 그대로 들려오는것 같습니다.》
모두가 숙연한 감정에 휩싸여 압록강의 푸른 물결을 바라보았다.
이때 길섶의 소나무가지우에서 여러 마리의 메새들이 청을 돋구어 지저귀고있었다.
한 항일혁명투사가
새를 잡자기보다 총을 쏴보고싶단 말이겠지요. 아마도 이 강을 넘나들며 왜놈들을 족치던 생각이 간절할것입니다.
지금 여기에는 항일투사들도 있고 군사지휘관들도 있는데 차라리 저 소나무밑에 목표를 설정하고 권총사격경기를 해보는게 어떻겠습니까?
모두가 환성을 올리며 기뻐하였다.
좋습니다. 모두들 찬성이면 권총사격을 해봅시다.
곧 사격목표판이 세워졌다.
드디여 민탕굽이의 고요를 깨뜨리며 총소리가 울려퍼지기 시작했다.
한 항일투사가 먼저 사격을 하고 물러서자 한 군관이 뒤를 이었다.
사격성적은 모두 괜찮은편이였으나 누구도 30점을 맞히지는 못하였다.
누군가
그런데 갑자기 바람이 일면서 비방울이 후두둑 떨어졌다.
한 일군이
야무진 세방의 총소리가 골짜기를 들었다놓았다.
이어 환성이 터져올랐다.
세방 다 10점 동그라미안에 명중되였던것이다.
일군들이 탄복을 금치 못하며 격동된 심정을 그대로 터놓자
《조국을 평화적방법으로 통일하는것은 변함없는 우리 당의 방침입니다.》
잠시 동안을 두시였던
압록강반에 메아리친 이날의 총성은 미제가 또다시 전쟁의 도화선에 불을 지른다면 혁명의 총대로 무자비하게 짓뭉개버리고 반드시 조국을 통일하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