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일화로 보는 위인상 2》중에서

 

높이 내세워주신 작가-김사량

 

주체102(2013)년 7월 자정도 지난 어느날 밤이였다.

한대의 승용차가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건설장으로 미끄러지듯 달려오더니 기념탑대문앞에 이르러 서서히 멈춰섰다.

승용차문이 열리면서 경애하는 원수님께서 내리시였다.

황급히 달려온 일군들이 놀라운 기색을 감추지 못하였다.

경애하는 원수님, 이 깊은 밤에…》

격해지는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뒤말을 잇지 못하는 일군들을 둘러보시며 원수님께서는 자정이 지났지만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을 돌아보고싶어 또 나왔다고 말씀하시였다.

그이께서는 여러곳을 차례로 돌아보기 시작하시였다.

로획무기전시장을 찾으시고 귀중한 가르치심을 주고나신 원수님께서는 《승리》상에도 가시여 건설정형을 료해하시며 부족점들을 바로잡아주시였다.

시간은 흘러 밤은 점점 깊어져 어느덧 새벽 2시를 가까이 하였건만 원수님께서는 공화국영웅홀로 걸음을 옮기시는것이였다.

이곳에 이르신 경애하는 원수님께서는 공화국영웅홀이 멋있다고 하시며 기쁨속에 영웅홀을 바라보시였다.

이때였다.

그이께 한 일군이 여기에 전쟁시기 배출된 공화국영웅, 로력영웅 수백명을 전시하고 종군작가 김사량영웅의 자료를 더 전시하려 한다고 말씀드렸다.

경애하는 원수님께서는 그의 말에 수긍하시며 적후에 떨어졌던 영웅작가의 생애를 더듬으시는듯 한동안 말씀이 없으시였다.

김사량, 본명은 김시창.

해방전과 해방후에 애국적인 문필활동을 벌렸고 조국해방전쟁시기에는 펜과 함께 총창을 틀어잡고 용약 종군의 길에 올랐던 그는 전략적인 일시적후퇴시기에 중병으로 인해 더는 운신하기 힘들게 되자 적구에 떨어지지 않으면 안되였다.

전쟁은 끝났으나 그는 돌아오지 못하였다.

《…나의 당원증은 당중앙위원회에, 종군수첩은 작가동맹에 전해다오.

승리를 위하여, 희망을 위하여.

김일성장군 만세!

      1950년 10월 1일 김사량》

조국에 온것은 그가 심장으로 쓴 이 글발뿐이였다.

적구에 떨어진 그의 운명에 대해서는 오래동안 누구도 알수 없었다.

좀처럼 알려지지 않는 김사량의 생사여부를 두고 요설의 능수인 일본의 보수언론들은 한때 《김사량실종설》을 내돌리며 그가 복잡한 경력과 가정환경때문에 매장되였다는 괴이한 론조를 퍼뜨리기도 하였다. 또한 《전향》이요, 《변절》이요 하면서 함부로 떠들어대는 일부 편협한 사람들의 말에 귀를 기울이며 머리를 기웃거리는 사람들도 있었다.

하지만 김사량을 변함없이 믿으시고 그의 명예와 가족들을 끝까지 지켜주신분은 어버이수령님과 위대한 장군님이시였다.

어버이수령님께서는 행적을 알수 없는 김사량에 대하여 못내 걱정하시며 그는 정의감이 강하고 량심적이며 신념이 있는 사람이라고, 신념이 있는 사람은 변하지 않는다고 하시며 자신께서는 그가 생명의 최후순간까지 견결히 싸웠으리라 믿는다고 확언하시였다.

위대한 장군님께서는 김사량의 최후에 대해 밝혀내는 문제는 단순히 한 인간의 생사여부에 관한 문제가 아니라 어버이수령님께서 아끼고 믿어주시던 작가의 정치적생명을 빛내여주기 위한 중요한 문제라고 하시면서 남조선에서 적후투쟁을 하다가 들어온 사람들과 여러 출판물을 통하여 알아보도록 조치를 취해주시였다.

그 대해같은 믿음과 사랑의 조치에 의하여 김사량이 지리산인민유격대에 들어가 출판선전사업을 책임지고 투쟁하였다는것이 알려졌고 그의 최후도 밝혀지게 되였다.

…지리산의 산과 골짜기에 《토벌》의 총포성이 멎을 날이 없던 1951년 6월 23일. 인민유격대의 초막을 발견하고 겹겹이 에워싼 적들은 총탄을 미친듯이 퍼부으며 투항하라고 고아댔다. 초막안에서 대답대신 총탄이 쏟아져나오자 악에 받친 놈들은 화염방사기로 불을 뿜어댔다.

잠시후 불에 그슬린 두 부상병이 서로 부축하며 걸어나왔다. 해병대놈들이 벌떼처럼 달려들어 총구를 들이댔다.

순간 《김일성장군 만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만세!》의 비장한 최후의 웨침에 이어 수류탄폭음이 산발을 들었다놓았다.

그들중의 한사람이 김사량이였다.

김사량의 영웅적인 최후에 대하여 료해하신 위대한 장군님께서는 그를 혁명적인 작가로 높이 평가하시면서 《김사량작품집》을 출판할데 대한 은정깊은 조치를 취해주시였다.

세계전쟁사를 살펴보면 종군한 문예인들이 적지 않다.

그러나 김사량은 자신의 최후가 영원히 알려질수 없는 정황에서도 수령 만세를 목메여 부르며 자폭하였다.

그의 고결한 생애와 빛나는 최후는 경애하는 원수님에 의하여 세월을 이어 더욱 빛나고있다.

2013년 6월.

나라의 천만자식을 태양같이 따사로운 한품에 안으시고 믿어주고 내세워주며 빛내여주시는 경애하는 원수님께서는 김사량의 공적을 높이 평가하시여 그에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칭호를 수여하도록 하시는 크나큰 은정을 베풀어주시였다.

그 은정 그 사랑에 떠받들리여 김사량의 삶은 영생의 언덕에 오르게 되였다. …

깊은 감회속에 잠기셨던 경애하는 원수님께서는 이윽하여 일군들을 바라보시며 이렇게 말씀하시였다.

《김사량은 조국해방전쟁시기 수령님의 뜨거운 사랑과 크나큰 믿음을 받아안고 종군작가로 적극 활동하였으며 자폭으로 최후를 마치는 마지막순간까지 용감하게 싸웠습니다. 수령님께서는 생전에 그에 대하여 자주 회고하시였습니다.

당에서는 김사량이 전사한지 60여년의 세월이 흘러갔지만 그의 위훈을 높이 평가하여 지난 6월 공화국영웅칭호를 수여하도록 하였습니다.》

자폭으로 최후를 마치는 마지막순간까지 용감하게 싸운 종군작가 김사량.

그의 위훈은 공화국영웅이라는 값높은 영생의 삶을 지닌 빛나는 모습으로 오늘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영웅홀에 자랑스럽게 전시되게 되였다.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