옷고개이야기

 

경애하는 김정은동지께서는 다음과 같이 말씀하시였다.

《우리 수령님은 혁명가적풍모에 있어서나 인간적풍모에 있어서나 그 누구도 견줄수 없는 위인중의 위인이시다.》

주체35(1946)년 3월 어느날에 있은 일이다.

위대한 수령님께서는 토지개혁실시정형을 료해하시기 위하여 지방을 현지지도하고 돌아오시던 길에 한 국수집에 들리시였다.

국수집안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앉아 식사를 하고있었는데 그들은 서로서로 토지를 분여받은 기쁨의 대화를 나누고있었다.

누구는 옥답 4 000평이나 분여받아가지고 밤새껏 동네방네를 돌아다니며 춤을 추었다는 이야기, 마흔이 넘은 로총각이 땅을 분여받은데다가 장가까지 들어 팔자를 고쳤다는 이야기…

그런데 한 식탁에 혼자 앉아있는 로인만은 웬일인지 국수를 받아놓고 먹을념을 하지 않고 싱글거리며 창밖에 매여놓은 송아지를 내다보고있는것이였다.

그 로인앞에 앉으신 위대한 수령님께서는 국수가 풀어지겠다고, 어서 들라고 다정히 권하시였다.

자기앞에 앉아계시는분이 위대한 수령님이신줄 알리 없었던 로인은 그까짓것 풀어지면 뭐랍네까, 이제야 다 우리건데 하고 대답하였다.

그의 말에 위대한 수령님께서는 그 말씀 참 잘하셨다고 응수해주시였다.

그 바람에 흥이 난 로인은 묻지도 않은 말을 술술 터놓았다.

자기는 이번에 김일성장군님의 은덕으로 3 000평의 땅을 분여받았다는것, 그래서 농사를 본때있게 지어볼 작정이라는것, 아직은 여유가 없어서 겨우 송아지를 한마리 샀지만 가을에는 꼭 황소 한짝을 매여놓겠다는것이였다. 그러면서 그는 내 기어이 황소를 부리게 될터이니 두고보라고 큰소리를 쳤다.

그러는 로인을 정답게 바라보시던 위대한 수령님께서는 환히 웃으시며 아무렴, 꼭 그렇게 되겠지요라고 화답해주시였다.

이윽하여 위대한 수령님께서는 그 로인에게 어디에 사시는가고 물으시였다. 그러자 로인은 옷고개너머 동네에서 산다고 하면서 오늘 새벽에 옷고개를 넘으려니 무슨 생각이 들던고 하니 이젠 옷고개도 우리것이로다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 하였다. 그러면서 그는 옷고개의 유래에 대해서까지 장황히 이야기하였다.

옛날 대동군을 비롯한 여러 고을의 량반선비들은 평양으로 올 때 평양성이 보이는 고개마루에서 입고온 옷을 벗고 새옷을 갈아입군 하였다. 평양감사가 있는 성안에 어지러운 옷차림으로 들어갈수 없어서 그랬다는것인데 그때문에 고개마루에는 량반선비들이 벗어놓은 옷이 늘 하얗게 걸려있군 하였다. 그런 연고로 옷고개라는 이름으로 불리우게 되였다.

이렇게 옷고개의 유래를 내리엮고난 로인은 흥에 겨워 이야기를 계속하였다.

《오늘 아침 옷고개를 넘으려니 옷고개도 이젠 우리것인데 내 두루마기도 좀 걸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지 않겠소. 그래서 입었던 두루마기를 척 벗어서 걸어놓았지요.》

그의 말에 옆에서 듣고있던 사람들이 웃음을 참지 못하고 키득키득 하였다. 그러거나말거나 그는 이야기를 계속하였다.

《헌데 한창 고개를 내려오느라니 옛날 량반놈들이야 평양감사가 무서워서 옷을 갈아입었지만 이제야 우리 농사군들이 뭐가 무서워서 헌 두루마기라고 벗어놓을고 하는 생각이 들더란 말이웨다. 그래서 부랴부랴 다시 올라가서 두루마기를 도루 입고 내려왔지요.》

그의 말에 호탕하게 웃으시던 위대한 수령님께서는 동행한 일군에게 우리가 국수집에 오길 잘했다고, 이런 좋은 이야기를 어데서 듣겠는가고 하시였다.

이날 위대한 수령님께서는 그 로인에게 올해농사를 잘 지어 농량도 넉넉히 마련하고 큼직한 황소도 사다 매라고 다정히 이르시고 국수집을 나서시였다.

옷고개이야기, 이것을 어찌 단순히 한 고개에 대한 이야기라고만 하랴.

그 하나의 이야기에도 우리 농민들을 땅의 주인, 나라의 주인으로 내세워주신 위대한 수령님께 다함없는 고마움의 인사를 드리는 인민의 뜨거운 진정이 어려있는것이다.

본사기자

 

답변 1
투고자: 긍지

가식과 꾸밈이 없는 감동깊은 이야기입니다.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