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사일의 선생은 농민!
《일군들은 인민을 선생으로 여기고 인민의 힘과 지혜를 동원하면 못해낼 일이 없다는 옳바른 관점과 립장을 가지고 늘 인민들속에 들어가야 합니다.》
주체60(1971)년 7월 어느날
당시 농장에서는 물문제때문에 농사에서 커다란 애로를 겪고있었다.
농장에서는 부족한 물문제를 자체로 해결해보려고 자그마한 저수지를 몇개 만들었으나 워낙 물이 바른 고장이다보니 농사에 쓸 물을 넉넉히 잡아놓을수 없었다.
수원이 풍부한 대동강이나 보통강물을 끌어오기 위한 공사를 자체로 하자고 시도했지만 막대한 로력과 자재가 드는것은 물론이고 서뿔리 공사를 벌려놓았다가는 농사도 변변히 짓지 못할것 같았다.
애가 탈대로 탄 이곳 일군들은 물문제를 해결해보려고 웃단위 일군들을 찾아다녔다. 그런데 만나는 일군마다 큰 물길공사를 하기 전까지는 지금처럼 농사를 지으라고 《조언》을 주었다.
그래서 농장에서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속수무책으로 있었다.
농장의 이러한 실태에 대하여 듣고나신
그러시면서 며칠전 어느 농촌길을 지나시다가 한 농장원을 만나시였던 이야기를 들려주시였다.
그날
그곳으로 다가가신
농민은 논을 적시고 나온 물을 그냥 흘려보내기가 아까와서 물을 잡아두었다가 다시 쓰려고 그런다고 대답을 드
그러자 농민은 일군들이 저수지나 강이 없으면 농사를 짓지 못하는것으로 생각하는데 이렇게 다 쓰고 남은 물을 잡아두었다가 양수기나 강우기로 다시 끌어올리면 논도 적시고 강냉이밭관수도 얼마든지 할수 있다고 말씀드렸다.…
이런 이야기를 하신
이윽하여
일군이 미처 대답을 못드리자
순간 일군은 막혔던 물목이 터져나가는것 같은 심정에 휩싸였다.
역수공사, 바로 여기에 농장의 부족되는 물문제를 해결할수 있는 방도가 있지 않는가.
일군은 흥분된 심정으로 그렇게 하면 물걱정을 하지 않아도 될것 같다고 말씀드렸다.
그러는 일군을 정겹게 바라보시며
그러시면서 농민들에게서 배우면서 일해나갈데 대하여 다시금 강조하시였다.
이렇게 되여 농장에서는
농사일의 선생은 농민이다!
정녕 이 말속에는 언제나 인민을 선생으로 여기시고 인민들속에 들어가 혁명과 건설에서 나서는 모든 문제를 풀어나가는것을
본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