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승고적 동금강암

 

우리 공화국에는 고려시기 세워진 유명한 동금강암이 있다.

동금강암이라는 이름은 이곳 사찰주변의 경관이 금강산의 경치에 못지 않다는데로부터 유래된것이다.

동금강암은 고려시기 담화부락(동금강암밑에 있던 부락)에 있던 자비사가 불에 탄 후에 세워진것으로 알려져있다. 깎아지른듯한 절벽밑에 들어앉은 동금강암은 그후 다섯번이나 고쳐지었는데 본채와 칠성각으로 되여있다.



동금강암의 본전은 높이 솟은 바위를 뒤에 두고 앞으로는 경사진 자연지세를 리용하여 터를 잡았다. 앞면에는 2단으로 기단을 높직하게 쌓고 좌우측면과 뒤면에는 조금 낮게 1단으로 조성한 다음 그우에 건물을 앉혔다.

건물의 앞면 4간중에서 오른쪽 끝간은 부엌으로 되여있고 왼쪽 3간은 퇴마루가 있는 온돌방으로 되여있다.

본전의 가운데간 불당안에는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이 있다.

원래는 금동관음보살좌상이 있었는데 묘향산 보현사에 옮겨가고 그대신 아미타여래좌상이 들어앉았다고 한다.

이밖에 퇴마루가 달린 합각집모양의 칠성각도 있다. 이 건물을 칠성각이라고 불렀지만 원래는 매 경간마다 간막이를 하고 칠성각, 독성각, 산신각이 따로따로 있었다.

칠성각의 뒤쪽으로는 가파로운 절벽이 솟아있는데 아찔한 벼랑이 칠성각의 뒤쪽에 병풍처럼 둘러서있는 모습이 볼수록 장관이다.

이곳에서 임진조국전쟁시기 서산대사와 사명당이 왜적을 쳐물리치기 위한 묘한 계책을 세우고 원쑤들을 족치는데 필요한 활촉들을 만들어냈다는 일화가 전해지고있다.

동금강암은 위대한 조선로동당의 민족문화유산보존정책에 의하여 오늘도 원상대로 보존관리되고있다.

본사기자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