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인민의 고유한 민속명절 - 추석
《우리의것을 귀중히 여기고 빛내여나가는 여기에 조선민족제일주의가 있으며 내 나라, 내 조국의
추석은 음력 8월 15일에 쇠는 명절로서 예로부터 우리 인민이 크게 쇠던 민속명절이다.
추석은 가을저녁이라는 뜻으로서 오곡이 무르익는 좋은 계절인 가을철의 달밝은 보름날을 명절로 즐기는데로부터 생기였다.
지난날 추석을 가배, 가위, 한가위라고도 불러왔다.
《삼국사기》나 《삼국유사》에 의하면 우리 인민은 삼국시기에 벌써 추석을 가위날이라고 하면서 쇠였다.
예로부터 전하여오는 추석맞이풍습에는 조상을 위한 의례, 철음식, 민속놀이 등이 서로 밀접히 결합되여있었다.
추석날의 첫 의례는 조상의 무덤을 돌아보는것이다. 우리 인민들은 추석날에 햇곡식으로 만든 음식을 가지고 조상의 무덤을 찾는것을 응당한 도리로 여겨왔다. 이날 사람들은 명절옷차림을 하고 조상의 묘를 찾아가 풀베기와 무덤손질을 한 다음 제사를 지냈다.
이와 같이 추석날 조상의 묘를 찾아가 제사를 지내는 풍습에는 례절이 밝고 의리가 깊은 우리 인민의 아름다운 도덕적풍모가 반영되여있다.
추석날의 대표적음식으로는 송편과 밤단자를 들수 있다. 송편은 솔잎을 깔고 찌는 떡이라는 뜻에서 붙인 이름이다. 추석날의 송편에는 주로 햇콩, 참깨, 밤, 대추같은것을 소로 넣었다. 밤단자는 률단자라고도 하였는데 찹쌀가루를 쪄서 닭알처럼 둥글게 빚고 거기에 꿀에 개인 삶은 밤을 고물로 묻힌것이다. 찹쌀가루와 길금가루 등을 리용하여 만든 노치는 평양지방의 특식으로 유명하였다.
추석날에는 또한 여러가지 민속놀이를 하였다.
이날 녀자들은 그네뛰기, 남자들은 씨름을 하였다. 지방에 따라 바줄당기기, 소놀이, 거부기놀이, 길쌈놀이도 하였다.
추석날 저녁에는 달구경이 이채로왔다. 높은 산에 오르거나 집마당에 멍석을 펴고앉아 유난히도 밝은 은백색의 둥근 달을 바라보며 제나름대로 조용히 마음속소원을 외우고 소박한 꿈이 담긴 시와 노래를 즐기던 우리 인민의 달구경풍습에는 다정다감하고 정서가 깊은 우리 민족의 내면세계가 잘 반영되여있다. 이날 사람들은 달의 밝음정도를 보고 그해 농사작황을 가늠해보기도 하였다.
민속명절 추석은 우리 인민의 고상한 정신적풍모,
어느해인가 추석명절을 앞두고 일군들과 자리를 같이하신
우리 민족의 우수한 민속전통을 귀중히 여기시고 적극 내세워주신
오늘 우리 공화국에서 추석은 단순히 조상들에게 지성을 표시하는 날로만이 아니라 당과
본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