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란봉 청류벽마애불​

 

민족의 유구한 력사와 찬란한 문화가 곳곳에 깃들어있는 공화국의 수도 평양에는 모란봉 청류벽마애불도 있다.

마애불이란 벼랑이나 바위면에 불교의 례배우상물인 불상을 부각 또는 음각수법으로 새겨넣은것을 말한다.

릉라다리에서 전금문쪽으로 나있는 유보도를 따라 북쪽으로 150m정도 가느라면 청류벽바위면에 새겨진 마애불을 볼수 있다.

청류벽마애불은 벼랑아래의 바위면에 반원형의 감을 파고 그안에 3존상과 인왕상을 돋을새김수법으로 새겨넣은것이다.

반원형감의 크기는 밑부분너비 85cm, 높이 58cm, 깊이 15cm정도이다.

마애불은 3존상으로 형상되였는데 중심여래상은 장방형의 낮은 받침대우에 결가부좌의 자세를 취하고있는 모습으로 형상되여있다. 손가짐새를 보면 왼손은 결가부좌의 자세를 취한 무릎우에 올려놓고있고 오른손은 배앞부분에 가져다대고있다.

크기는 높이 45cm, 두광의 직경은 18cm이다.

여래상의 오른쪽에 있는 보살상은 복련형의 련꽃받침대우에 서있는 모습으로 형상되여있는데 높은 보관을 쓴 머리뒤부분에 원형두광이 새겨져있다. 손가짐새를 보면 오른팔은 가슴앞에 구부리고있고 왼팔은 아래로 드리우고있다.

높이는 34cm, 두광의 직경은 15cm정도이다.

중심불상의 왼쪽에 놓인 보살상 역시 복련형의 련꽃받침대우에 서있는 모습으로 형상되여있는데 높이는 34cm, 두광의 직경은 15cm정도이다.

이밖에 3존상의 좌우에는 인왕상이 각각 1상씩 새겨져있다.

반원형의 감주위에는 해서체로 쓴 한자들이 새겨져있다.

모란봉 청류벽마애불은 내용과 형식, 규모에서 큰 학술적가치를 가지는 귀중한 유적이다.

이 마애불처럼 반원형의 감안에 3존불상을 배치하고 좌우에 활을 메고 바깥쪽으로 걸어가는 인왕상과 두다리를 좌우로 벌리고 서서 힘을 시위하는 인왕상들이 해학적으로 새겨진 형식의 3존불상은 지금까지 처음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름과 그 제작에 관여한 인물들의 구성상태 등이 기록된 마애불도 다른 곳에서는 찾아보기 어렵다.

청류벽마애불의 제작시기는 조선봉건왕조전기인 15세기 후반기로 추정된다.

마애불의 주위에는 전금문과 현무문, 칠성문, 을밀대, 최승대, 부벽루, 청류정과 같은 우리 인민의 슬기와 재능을 보여주는 력사유적들이 적지 않게 분포되여있다.

본사기자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