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보람
누구나 한번밖에 없는 인생을 보람있게 살고싶어한다.
그것은 사람들의 한결같은 지향이기도 하다.
하지만 값있고 보람찬 삶의 기준은 사람마다 서로 다르다.
나날이 재부가 늘어나는것을 인생의 보람으로 여기는 사람도 있고 또 사회적지위나 명예가 높아가는것을 더없는 행복으로 간주하는 사람도 있다.
하다면
시대가 제기한 이 물음에 대한 대답을 나는 얼마전에 TV로 방영된 편집물 《인생의 보람》을 보고 다시금 똑똑히 알게 되였다.
편집물에서는 그 어떤 보수나 영예도 바라지 않고 조국을 받드는 길에
도로관리원으로 근 30년간 일해온 김정순녀성과 무궤도전차운전수로 50여년간 일하면서 수백여만㎞를 무사고로 주행한 71살의 도준길아바이, 30리나 되는 궤도로반을 근 30년간이나 매일 새벽과 밤에 도보순회하여 정상운영할수 있게 보수한 김용길, 신은철동무들, 뜨거운
모두가 이 땅 그 어디서나 볼수 있는 소박하고 수수한 사람들이였지만 그들이 지닌 인생관은 결코 남들처럼 평범하지 않았다.
남들이 선뜻 가기 저어하는 일터에서, 사람들의 눈에 잘 띄우지도 않는 어렵고 힘든 일을 그것도 수십년동안 한직종에서 변함없이 성실하게 일해오는 그들의 심장속에는 과연 무엇이 자리잡고있었던가.
우리는 무엇을 위해 사는가.
자식들과 후대들에게 우리는 무엇을 넘겨주어야 하는가.
우리는 왜 후회없이 이 길을 꿋꿋이 걸어가는가.
수십년세월 힘들고 지치고 나약해질 때마다 자신의 깨끗한 량심에 이 물음들을 제기하고 누가 보건말건 알아주건말건 조국의 부강번영을 위한 길에 적은 힘이나마 바치며 이 나라 공민의 도리를 다하여온 참된 인
그들이 바라는 인생의 보람은 결코 화려한 꽃다발과 불빛밝은 축하무대, 높은 국가수훈이나 값높은 명예칭호에 있지 않았다.
비록 사람들의 기억속에 남는 특출한 위훈을 세우지는 않았지만 조국이 맡겨준 초소를
한몸을 깡그리 불태워서라도 조국의 큰 짐을 하나라도 덜기 위해 애쓰는 애국의 마음과 모진 시련과 난관이 막아서도 당정책을 무조건 결사관철하려는 조선로동당원의 깨끗한 량심이 그 어떤 동요도 사심도 없는 아름다운 삶을 수놓아가게 하였고 참된 삶의 보람과 크나큰 긍지를 가슴가득 안겨주었던것이다.
이런 사람들을 우리는 애국자라고
이렇듯 순결하고 열화같은 애국공민들이 무성한 숲을 이루고있기에 내 조국은 그토록
리 철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