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 리 말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통협)가 결성된 때로부터 어언 반세기가 넘는 세월이 흘러갔다.

주체103(2014)년 7월 2일이 바로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가 자기의 출산을 세상에 알려 고고성을 울린 때로부터 58년이 되는 날이다. 나는 이날을 맞으며 위대한 태양의 품속에서 공화국의 통일력사에 자랑스러운 한페지를 기록한 통협의 연혁을 다시한번 조명해보면서 그간 자신이 연구하고 분석한 끝에 도달한 진리를 세상앞에서 술회해보려고 한다.

나 리우갑으로 말하면 1993년에 비로소 통협이라는 《함선》에 탑승한 사람이다.

통협이라는 《함선》이 건조되여 첫 출항의 고동을 울렸을 때 거기에 타고있던 재북인사들의 년령은 평균 50대 중반에 이르고있었다. 그들가운데는 70대의 년장자들도 여럿이 있었다. 그런데 그때로부터 근 40년이 지나 통협회원이 되였으니 나에게 있어서 통협이라는 《함선》의 첫 선원들은 선배치고도 대선배가 아닐수 없다.

그들속에는 갖은 풍파와 우여곡절끝에 보천보의 총성에서 고무적힘을 얻고 배달민족의 성산 백두산을 우러르며 독립운동의 정로를 모색했던 상해림정의 핵심인물들도 있었고 8. 15해방후부터 전쟁전까지의 시기에 불의의 와류를 극복하면서 남조선땅에서 통일애국투쟁에 투신했던 인사들, 전쟁의 어려운 시기에 리승만괴뢰도당과 단호히 결별하고 민족의 태양이신 위대한 수령님의 품을 찾아 북행길에 올랐던 각계각층 인사들도 있었다.

그러고보면 그 선배들이 한참 독립운동, 통일운동으로 동분서주하고있을 때 겨우 소년시절에 있었던 나 같은 사람이 감히 재북평화통일촉진협의회의 연혁을 론하자고 하고있으니 제3자들이 볼 때 주제넘은 일이라고 할는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어지러운 남조선사회와 결별하고 위대한 태양의 품에 안겨 어버이수령님과 장군님의 크나큰 믿음과 사랑속에 통협회원으로서 인생의 후반생을 참되고 값높게 장식하고있는 나에게 있어서 통협과 재북인사들이 걸어온 발자취와 값높은 삶을 돌이켜보고 력사의 참된 진실을 밝혀내는것은 회피할수 없는 사명이자 임무로 된다고 생각한다.

내가 이런 책임감과 사명감을 안고 통협의 연혁을 연구하는 과정에 새롭게 발견한것이 있다.

그것은 지심에 깊이 박고있는 통협의 뿌리이고 통협이 딛고 선 초석이였다.

남조선에서 북에 들어온 정계, 사회계인사들을 망라했던 통협은 결코 자연발생적으로 무어진 단체도 아니요, 사상루각과 같은 단체는 더욱 아니였다.

통협은 지심에 깊고 튼튼한 뿌리를 박고 정교하게 다듬은 초석우에 선 통일애국단체였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통협이 뿌리를 뻗칠수 있는 지심은 다름아닌 어버이수령님의 품이였고 어버이수령님과 위대한 장군님의 크나큰 믿음과 보살피심은 통협이 딛고선 초석이였다.

이것이 바로 내가 통협의 연혁을 연구하는 과정에 도달하게 된 귀중한 진리인것이다.

이 진리에 도달했을 때 나의 가슴을 크게 친것이 하나 있었다. 그것은 력사의 진리를 무시하고 진정한 통일애국인사들에게 심히 모독적인 《랍북인사》라는 감투를 함부로 들씌운 남조선의 반민족, 반통일분자들의 불법무도한 죄행에 대한 격노였다.

지난 조국해방전쟁시기 남조선의 수많은 정계, 사회계의 인사들이 자기의 신념에 따라 공화국의 품에 안긴것을 두고 남조선의 반동분자들은 처음부터 《랍북인사》라고 하면서 그들의 애국심을 모독하였으며 《유신》독재자들은 《랍북인사송환운동》이라는 소동을 피우면서 그 문제를 유엔에까지 끌고가는 망동을 부리였다. 한편 반세기가 지난 오늘까지도 현 남조선당국자들은 《랍북인사》라는 낡아빠진 곡조를 되풀이하면서 그것을 존엄높은 우리 공화국의 영상을 흐리게 하는데 리용하고있다.

량심적이고 지조도 높고 자존심도 강한 통일애국인사들에 대한 반동들의 모독행위는 물론 론할 일고의 가치도 없는것이다.

그것은 선배들에 대한 나의 존경심을 더욱 크게 해주고 인생행로에서 곡절도 많았던 선배들이 통일애국의 한길로 꿋꿋이 걸어나갈수 있게 이끌어주셨던 어버이수령님과 위대한 장군님에 대한 나의 흠모의 정을 더욱 크게 해줄뿐이다. 비록 나라의 통일을 위한 길에서 공적도 없고 필력도 무딘 내가 이런 글을 내놓는다는것에서 다소 부끄러움이 앞서는것을 어찌할수 없지만 통협회원인 나에게 있어서 이 일은 력사의 소명에 따른 일로 된다는데서 힘과 용기를 가다듬으며 감히 붓을 들었다.

비록 미숙한 글이지만 백두산절세위인들의 하늘같은 믿음과 은정속에 자랑찬 력사를 아로새긴 통협과 통일애국의 길에서 영생하는 재북인사들의 값높은 삶을 리해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된다면 더이상 바랄것이 없다.

이전페지차례다음페지

감상글쓰기

보안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