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도 선생님을 다치지 못합니다》
전후시기 조국과 혁명의 운명은 안중에 없고 정치적야심에만 혈안이 되였던 일부 사람들은
당시 공화국의 내각부수상으로 사업하고있던 홍명희선생도 그들의 공격대상자중의 한사람이였다.
그들은 《우리 정권은 로농정권인데 량반출신의 인테리이며 당적도 다른 사람이 어떻게 사회주의를 위해서 함께 일할수 있는가.》고 시비해나섰다.
홍명희선생의 마음은 참으로 괴로왔다.
그의 이러한 괴로움은 나이도 70이 다 되여오고 부수상의 중책에 있으면서
그에 대한 일부 사람들의 시비도 시비지만 내각 부수상직은 나이가 지난
그리하여 어느날
《무슨 말씀을 하십니까. 그러시면 안됩니다. 통일된 다음에 서울에 나가보셔야 하지 않겠습니까!》
《선생님, 요즘 나쁜놈들이 잡소리를 돌리고있다는것을 나도 알고있습니다. 그자들은 지어 내앞에서까지 선생님에 대해 시비하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내가 말했습니다. 홍명희선생이 성분이 어떻단 말인가, 과거 <림꺽정>을 썼으면 또 어떻단 말인가, 오랜 인테리인것은 사실이나 왜정세월에 일본놈들과 타협하지 않았으니 애국자가 아닌가, 그리고 홍선생은 해방후 제국주의편으로 따라간것이 아니라 우리를 찾아와 조국과 인민을 위해 복무하는 길에 들어섰다. 당과 국가를 위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자기의 재능과 정력을 바쳐 일하고있는데 국가의 중요간부로 되지 못할 리유가 무엇인가, 인테리에 대한 편협한 태도는 종파주의사상이다, 혁명의 편으로 따라오는 사람들을 왜 성분이 나쁘오, 무엇이 어떻소 하면서 감투를 씌워 배척하겠는가, 그래 따라오려는 사람들을 다 떼여버리고 혼자서 무엇을 할수 있단 말인가! … 내가 이렇게 면박을 주었더니 그들은 아무 말도 못하고 사라졌습니다.》
《선생님, 당은 선생님을 믿으니 마음놓고 일하십시오. 누가 뭐라고 하더라도 마음을 놓으십시오.
당이 있는 한 누구도 선생님을 다치지 못합니다!》
순간 홍명희선생은 옷깃을 여미며 자리에서 일어났다. 생일 70돐을 눈앞에 둔 그였지만 그
참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