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심줄》
인민대중이 굳게 단결하여 투쟁하여야 나라의 독립을 이룩할수 있다는 사상을 노래와 춤이 배합된 예술형식으로 감명깊게 형상하였다.
작품은 로동자, 농민, 병사, 학생, 지식인 등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사람들이 단결을 상징하는 붉은 기둥을 무대중심에 세워놓고 그 기둥에 드리운 끈들을 잡고 춤을 추면서 그것을 엮어 단심줄을 만들어나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가무는 붉은 기둥을 든 1~2명의 출연자들이 먼저 노래에 맞추어 무대중심으로 나오는데로부터 시작된다. 무대조건에 따라 막이 열리기 전에 붉은 기둥을 장치해두었다가 음악이 시작되면 막을 열기도 하였다. 붉은 기둥 꼭대기로부터 드리워진 여러 색갈의 끈들을 각계각층으로 분장한 출연자들이 쥐고 기둥주위를 빙빙 돌아간다. 그러면 어느덧 여러 가닥의 끈들은 머리채모양으로 기둥에 감기게 되며 끈이 거의 다 감길무렵이면 춤과 노래는 더욱 고조된다. 출연자들은 전체 조선민족은 굳게 뭉쳐 힘차게 싸우자고 호소하는 노래를 소리높이 부르며 기둥의 주위를 힘차게 돌아가면서 단심줄을 완전히 땋는다. 출연자들이 한손에 색끈을 쥐고 팔을 놀리는 률동은 매우 아름답다.
작품에서 기본은 단심줄을 꼬아가는 부분이다.
작품에서 주로 2/4박자로 된 《통일전선가》를 비롯하여 《민족해방가》나 《총동원가》와 6/8박자로 된 《유희곡》 등
《단심줄》은 아동단유희대의 주요공연종목의 하나로서 유격대원들의 전투승리를 축하하는 모임, 아동단원들의 입단을 축하하는 모임, 5.1절과 10월혁명기념행사와 같은 모임때에 공연되였다. 출연인원수는 때와 장소, 대상에 따라 알맞게 정하였다.
《단심줄》은 조선인민혁명군 대원들과 인민들로부터 커다란 사랑을 받았을뿐아니라 북만의 구국군부대들로부터도 환영을 받았다. 가무는 아동단의 조직정치생활과 활동에서 중요한 수단의 하나로도 되였다.
젊은 시절부터 의병운동을 하고 그후에는 독립운동에 참가하여 싸운 차천리라는 로인은 《단심줄》을 보고 너무나 감동되여 단결해야 한다, 단결하지 못하면 망한다고 하면서 자기가 독립의 길에 나선지는 오랬지만 오늘처럼 조국의 앞날이 환히 내다보이는 진심으로 기쁜 날은 없었다고 말하였다. 그러면서 그는
불후의 고전적명작
《단심줄》은 오늘 무대무용으로뿐아니라 집단체조에도 옮겨져 그 불멸의 의의를 더욱 빛내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