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 무용
음악
우리 나라에서는 인류사회발전의 초시기부터 음악문화가 발생발전하였다.
우리 인민은 이미 원시시대에 《거부기노래》와 같은 로동가요들과 뼈피리와 같은 악기들을 창조하였으며 고대에 와서는 《공후인》과 같은 개인창작의 서정가요를 창작하고 기악과 기타 집단적가무형식도 창작하였다.
삼국시기에 이르러 《향가》를 비롯하여 《풍요》 등 여러 종류의 노래들이 창조보급되였으며 가야금, 저대, 퉁소, 장고를 비롯한 40여종의 악기들이 리용되고 독주, 중주, 합주 그리고 관현악, 고취악, 무용반주음악 등 여러가지 기악형식들이 나왔으며 왕산악, 백결, 우륵 등 우수한 음악가들이 수많은 기악곡들을 창작하였다. 이 시기 음악은 이웃나라들에서의 음악발전에도 커다란 영향을 주었다. 특히 일본의 고대음악문화형성에 큰 영향을 주었다.
발해와 후기신라시기에는 정치풍자적경향성을 띤 참요가 새로 나오고 륜무가인 《담가》를 비롯한 민요들과 도시서정가요양식인 향가가 창작보급되였다.
고려시기에 이르러 음악은 하나의 통일적인 흐름으로 발전하게 되고 《모내기소리》, 《물레질소리》와 같은 새로운 로동가요와 《사리화》와 같은 민요들, 《서경별곡》, 《청산별곡》과 같은 국어서정가요들이 창작보급되였으며 편경, 편종, 방향과 같은 새로운 악기들이 기악에 보충되였다. 15~19세기 전반기에는 로동민요 《양산도》를 비롯한 민요들과 농악 그리고 신아우 등의 민간기악양식들, 《사당패》들의 《사거리》를 비롯하여 긴잡가, 단가, 판소리, 가곡, 가사, 시조, 령산회상 등의 민간 및 도시직업음악, 기타 음악리론 《악학궤범》 및 음악표기법(전간식악보, 합자보)분야에서 풍부한 유산을 남기였다.
우리 나라 음악은 근세에 이르러 이 시기에 발생한 계몽창가, 창극, 양악대 등 일련의 새로운 음악양식들로 하여 폭넓게 발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음악생활이 더욱 풍부하고 다양해져갔다.
나라가 일제침략자들의 완전한 식민지로 전락된 시기에 우리 나라 음악은 일제의 민족문화말살정책으로 하여 정상적인 발전의 길이 억제되고 온갖 진보적이며 애국적인 사실주의음악이 탄압의 대상으로 되였다.
우리 나라 음악은 오직
해방후 우리 음악은
이 시기
조국해방전쟁시기에는 전쟁승리를 위한 우리 인민의 영웅적투쟁현실을 주제로 한 작품들이 폭넓고 다양하게 창작되였다.
전후복구건설 및 사회주의기초건설시기에도
대표적인 작품으로서는
사회주의의 전면적건설시기 음악은 사회주의적민족음악예술로 개화발전하였다.
이 시기
또한 서양악기로 조선바탕의 곡을 연주하며 민요와 명곡을 소재로 한 우리 식의 새로운 기악곡들이 창작되였다. 이밖에도 현실적주제를 취급한 민족가극, 교성곡, 교향곡, 교향시곡, 음악무용극 등 우수한 작품들이 창작되였다.
1970년대 이후시기에 우리 나라 음악은
가극혁명이 수행되여 《피바다》식혁명가극의 새 력사가 펼쳐지게 되였으며
또한 송가류형이 심화확대되고 수많은 명곡들이 창작되였다.
특히
기악음악에서는 새로운 배합관현악이 나오고 옥류금과 같이 현대적인 민족악기가 창안제작되였으며 우리 식의 우수한 기악작품들이 수많이 창작되였고 새로운 음악연주형식들이 나왔다.
오늘날
인민의
무용
우리 나라에서 무용은 일찍부터 발생발전하여 이미 기원전부터 주변나라들에 알려져있었으며 세기를 두고 전해내려오면서 여러가지 갈래의 풍부한 유산들을 남겨놓았다.
고대시기에는 집단적으로 모여 농업생산활동과 관련한 의식행사를 벌리군 하였는데 이때에는 춤을 추고 노래를 불렀다. 이것을 고조선에서는 《무천》, 부여에서는 《영고》라고 하였다.
고구려, 백제, 신라시기 무용은 민간무용과 궁중무용으로 나뉘여지며 그 형식과 양상도 독무, 쌍무, 군무와 탈춤, 창춤, 칼춤, 북춤 등으로 다양하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고구려의 《동동춤》 등을 비롯하여 후세에 농악무로 발전한 두레놀이무용을 들수 있다.
고려시기에는 무용의 형식과 그 형상수단들이 더욱 발전하였으며 전문적인 무용가들도 많이 나왔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통덕진출전무》를 비롯하여 《포구락》, 《헌선도》 등과 인민들이 창작한 《조천무》, 《처용무》, 궁중무용인 《북춤》을 들수 있다.
조선봉건왕조시기에는 춤양식이 다양해졌으며 《정대업무》와 같은 규모가 대단히 큰 작품들이 나왔다.
특히 임진조국전쟁시기에는 왜적을 반대하고 봉건통치배들을 반대하는 인민들의 감정이 반영된 민간무용들인 《강강수월래》, 《쾌지나 칭칭나네》, 《손벽춤》 등이 창조되였다.
근대의 대표적인 무용작품으로는 《물장구춤》, 《박판춤》과 의병들의 투쟁모습을 형상한 《군바바춤》, 《무사의 춤》, 《의병춤》 등을 들수 있다.
일제의 식민지통치시기 우리의 무용예술은 놈들의 민족문화말살정책에 의하여 여지없이 짓밟혔다.
오직
이 시기 우리 인민의 전통적인 미풍량속과 아름답고 고상한 정신세계를
그 대표적인것으로는 《3인무》, 《칼춤》, 《쟁강춤》, 《북춤》 등을 들수 있다.
또한 무용예술분야에서는 사상성과 예술성이 높은 혁명적무용작품을 창조하며 주제와 생활반영의 폭을 넓히는데서도 커다란 성과를 이룩하였다.
그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특히
또한 《피바다》식혁명가극의 무용들이 성과적으로 창조됨으로써 가극에서의 무용의 지위와 역할이 새로운 높이에 올라섰으며 《영광의 노래》,
《락원의 노래》와 같은 음악무용서사시, 음악무용이야기 그리고 5 000명 대공연 《행복의 노래》 등 대규모형식의 무대작품들의 무용이 창조되였다.
무용조곡 《군민은 한마음》, 《군민의 노래》, 무용 《혁명의 승리가 보인다》, 《한치의 땅도 내줄수 없다》와 같은 혁명적이며 전투적인 작품들과 무용 《돈돌라리》, 민속무용조곡 《계절의 노래》, 《평양성사람들》, 무용극 《봉선화》 등 우수한 민속무용작품들이 창조되였다.
또한 새 세기의 대걸작품으로 완성된 대집단체조와 예술공연 《백전백승 조선로동당》, 《아리랑》에서 우아하고 아름다운 무용들이 창조되여 우리 무용예술의 보물고를 더욱 풍부히 하였다.